6강(스프링 웹 개발 기초)
2022. 11. 2. 20:51ㆍ개발/spring1
스프링 웹 개발 기초
정적 컨텐츠: 파일을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 내려주는 것. 파일을 '그대로' 내리는 것
MVC와 템플릿 엔진: 가장 많이 하는 방식. Html을 그대로 내리는 것이 아닌 서버에서 프로그래밍해서 동적으로 바꿔 내리는 것.
API: 안드로이드, 아이폰 클라이언트와 개발할 때 서버 입장에서 제이슨이라는 데이터 포맷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API 방식이다. 서버끼리는 html을 내려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가 흐를 때 API 방식이라고 한다.
Hello-static.html 파일을 생성한다.
요런 html을 입력한다.
Localhost:8080/hello-static.html을 입력했을 때 입력했던 html이 고대로 반환이 되어있다. 대신 어떤 프로그래밍은 할 수 없음. 이런걸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이라고 한다.
페이지 소스를 보면
아까 입력한 html이 그대로 반환 되어있다.
- 구조설명
- 웹 브라우저에서 localhost:8080/hello-static.html을 입력 했을 때 내장 톰캣 서버가 요청을 받는다.
- 그럼 내장 톰캣 서버가 요청이 왔네? 하고 스프링한테 넘김. 그럼 컨트롤러 쪽에서 먼저 hello-static이 있는지 찾아본다. 컨트롤러가 우선순위를 가진다는 뜻.
- 근데 컨트롤러엔 hello-static가 없으니 resources에 있는 hello-static.html을 찾고, 오 있다 하면 바로 웹 브라우저에 반환해 주는 것이다.
'개발 > spring1' 카테고리의 다른 글
8강(API 방식) (0) | 2022.11.05 |
---|---|
7강(MVC와 템플릿 엔진) (0) | 2022.11.03 |
@5강(모바일에서 실행) (0) | 2022.11.01 |
5강(빌드를 해서 실제 실행할 수 있는 파일 만들기) (0) | 2022.11.01 |
4강(View 환경설정)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