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강(AOP가 필요한 상황)
2022. 12. 16. 15:52ㆍ개발/spring1
얘는 처음 이론적으로 공부하면 멘붕에 빠지기 쉽다. 그런데 사실 AOP는 언제 어떻게 쓰는지 알면 별로 어려운 게 아니다.
모든 메소드의 호출 시간을 측정하고 싶다면?
시작과 끝에 메소드 호출 시간을 다 집어 넣어야 함.
근데 갑자기 상사가 나타나서 초단위로 찍어논걸 밀리세컨드로 수정해달라고함. 1000개가 넘는데 그걸 다 바꿔야함
뭐 이렇게 복잡스럽게 일일이 하나씩 join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ms로 표시하게 해야한다. 1000개 중에 이제 하나 했슴..
회원가입, 회원 조회에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은 핵심 관심 사항이 아니다.
시간을 측정하는 로직은 공통 관심 사항이다.
시간을 측정하는 로직과 핵심 비즈니스의 로직이 섞여서 유지보수가 어렵다.
시간을 측정하는 로직을 별도의 공통 로직으로 만들기 매우 어렵다.
시간을 측정하는 로직을 변경할 때 모든 로직을 찾아가면서 변경해야한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 갑자기 스프링 고수가 나타나서 어 이건 AOP쓰면 돼요 하고 알려줌.
'개발 > spring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강(AOP 적용) (0) | 2022.12.18 |
---|---|
24강(스프링 데이터 JPA) (0) | 2022.12.15 |
23강(JPA) (0) | 2022.12.14 |
22강(스프링 JdbcTemplate) (0) | 2022.12.14 |
21강(스프링 통합 테스트)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