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1. 23:09ㆍ카테고리 없음
Url이 example에 parameter에 example1 로 된다.
jsp 설정은 이렇게
현재 url에 파라미터를 ?id=test1234&code=B123
이렇게 설정해주면
요렇게 id와 code 값이 나온다.
두 번째는 맵으로 파라미터 받아보기
요렇게 작성하고 동일하게 두 번째 jsp를 만들어보자.
이렇게 해쉬 맵으로도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다. 리퀘스트 파람이라고 설정을 하면 스프링에서 자동으로 매핑을 시켜준다.
세 번째는 클래스로 받아보기
새로운 클래스를 하나 이렇게 만들어주자.
이렇게 설정해주고 세 번째 jsp를 만들자.
이렇게 바꿔주고 실행을 해보면
요렇게 에러가 나는데 클래스로 받는 경우 리퀘스트 파람을 쓰지 않아도 매핑이 된다.
요렇게.
실행이 잘 된다.
대부분 get과 post 에서는 이 세 가지 방법만 배워도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네 번째는 PathVariable이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것이다.
PathVariable 같은 경우는 String으로 하고 리턴 뷰 페이지를 지정해준다.
PathVariable이란 어노테이션이 지정한 id, test1234가 매핑이 돼서 화면에 id가 나온다. PathVariable도 여러 개를 설정할 수 있다.
code 부분을 이런 식으로 추가해주자.
코드 부분도 추가해주고
Url 마지막 부분에 code 내용을 입력하면 화면에 잘 출력된다.
다섯 번째는 String 배열로 받아보자.
Example5에 이름이 동일한 배열을 받았다. 배열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 c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요렇게 추가해주면
화면에 배열이 나오게 된다.
스프링에서 jsp를 많이 활용할 때는 j쿼리를 자주 사용한다. 가끔씩 JSON을 넘기는 경우가 있는데 그걸 구현해보자
얘를 실행했을 때 오타로 인한 오류가 많이 발생했다. 조심해야지..
정상적으로 JSON으로 넘겨졌다.
서버로 보낼 데이터를 json형태로 만들고 url은 매핑이 되고, 타입은 post에 postMapping. data는 JSON.stringify(json)으로 바꿔준다.
그리고 콘텐츠타입을 어플리케이션 제이슨이라고 해줘야 자바에서 맵으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꼭 @RequestBody를 넣어줘야한다.
마지막으로
이 부분을 클래스로 받아보자.
요걸 추가해주고
한대 묶어주고
맵을 대신해서 이 클래스를 끼워 넣으면 똑같이 동작한다
굿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