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27. 12:53ㆍ개발/spring1
프로젝트 생성
- Java11 설치(Java버전 변경하는 법)
- IntelliJ or Eclipse설치(그러나 대부분의 실무자들은 편의성 때문에 IntelliJ를 씀. 매우 편리함)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로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Maven과 Gradle은 필요한라이브러리를 가져오고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해주는 툴. 과거에는 Maven을 많이 썼으나 요즘은 Gradle을 쓰는 추세. 새로 배우는거면 Gradle로 .
SNAPSHOT이나 M3가 붙은 버전은 아직 정식 릴리즈가 되지 않은 버전이기 때문에 정식 릴리즈 된 버전 중 가장 좋은 2.7.1버전을 사용하면 될 거 같다.
어떤 라이브러리를 가져와서 쓸지 결정하는 부분.
웹 프로잭트를 만들거기 때문에 Spring Web을 골라준다.
HTML을 만들어주는 템플릿 엔진이라는게 필요한데 Thymeleaf를 쓸 것.(딱히 마음에 드는게 없다고 한다)
Generate해주면 hello-spring이란 파일이 생성되고 압축을 풀고 study 하위폴더에 넣어주자
IntelliJ에서 build.gradle을 선택하고 open
열어보면 main과 test 폴더가 기본적으로 나뉘어 있다. Test는 test 코드들과 관련된 소스들이 들어가는 폴더다. 그만큼 test 코드가 중요하다는 뜻.
Class가 만들어져있다. 이걸 실행시키면
이런 결과값이 뜬다. 아래 하이라이트 표시된 Tomcat started on port 8080이란게 뜨는데 이걸 localhost:8080이고 검색해보면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이렇게 뜨면 성공. 실행시킨 클래스를 끄면
사이트 자체가 없다고 뜬다.
번외편으로 IntelliJ를 쓰면 빌드가 자바를 직접 실행하는게 아닌 Gradle을 통해서 실행되는 경우가 있어서 preferences(Ctrl + Alt + S)에 들어가서 gradle이라고 검색을 해서 intelliJ로 바꿔주자.
이러면 run을 했을 때 훨씬 빨리 실행이 된다.
Ctrl+c로 끄기
'개발 > spring1'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강(빌드를 해서 실제 실행할 수 있는 파일 만들기) (0) | 2022.11.01 |
---|---|
4강(View 환경설정) (0) | 2022.10.31 |
3강(의존관계) (0) | 2022.10.31 |
1강(강의소개) (0) | 2022.10.22 |
Why Spring인가? (0) | 2022.10.20 |